이 기사는 이전 기사「대Webtoon 시대를 흔든 이단자의 만화」HELLPER론 전편-Road to Webtoon#4의 연속입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 중에, 한국의 Webtoon을 원문으로 읽고 있는 사람이 있을까?
만약 있다면, 댓글란에 나오는 “어떤 특징”에 주목했을지도 모른다.
(대체로 인기 작품에서 자주 보이지만)어떤 장르, 어떤 작품을 읽고 있든 아래의 댓글은 반드시 나온다.
「오늘 연재분 적지 않나요?」
필자는 항상 이 댓글에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신기하게도, 그들이 말하는 “연재분”은 실질적인 컷 수와는 관계가 없다.
오히려 평소보다 많은 컷 수임에도 불구하고, “뭔가 오늘은 적은 것 같아~”라는 불만 댓글이 항상 나온다. 개인차라고 이해하려고 하면서도, 필자는 그곳에 「독자와 작가 사이에, 도저히 좁혀지지 않는 간격」이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의심하게 된다.
반드시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창작하는 측과 소비하는(읽는) 측 사이에는 괴리가 발생하기 쉽다. 단순히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것 외에도, 이렇게 분량의 인식이 다르다는 것조차 자주 발생한다.
그리고 이번 이야기는 이에 상당히 가깝다고 필자는 생각하고 있다.
#4에 이어 시즌을 나누어 연재를 계속해온 『HELLPER』는 그림체를 포함해 여러 변화를 시도해왔다. 시즌②가 갑자기 18금이 된 것도 그 변화의 일환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그 변화는 팬들 사이에서 양극적인 반응을 일으켰고, 댓글란은 점점 찬반 양론의 장으로 변해갔다.
독자와 작가 사이에서 생긴 사소한 차이가 과연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오늘 그 이야기를 다뤄보고자 한다.
점점 커지는 불만의 목소리: 안티를 웃음으로 만드는 작가


대체로 9.9를 유지했던 시즌①과 비교해, 최저 2.0까지 떨어진 시즌②의 모습.
이제 와서 말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 HELLPER의 시즌에 대해 보충해두자.
13년의 연재 역사를 자랑하는 HELLPER는, 2011년도부터 4년간 이어진 시즌①「MADMAN」 연재를 마친 후, 2016년부터 약 8년간 시즌②「KILLBEROS」를 연재했다. 같은 작품이지만, 시즌①과 시즌②의 평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점은 주목해주길 바란다.
이 연재의 전편에서 설명한 내용은, 당연히 호평이 계속되었던 시즌①「MADMAN」에 한정된 이야기이다.
시즌②「KILLBEROS」도 연재 초반에는 평판이 좋았지만, 2년 후인 2018년부터 점점 작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안티 댓글이 늘어났다. (18금에도 불구하고) 과격한 표현, 카메오 캐릭터와 브랜드 광고가 너무 많다는 문제, 시사 문제를 다루는 것이 지나치다는 문제 등, 시즌①에서 유입된 팬들 사이에서 지적의 목소리가 자주 올라왔다.
댓글을 읽지 않았던 것은, 소통을 하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댓글에 영향을 받아 내가 의도한 대로 만화를 보여줄 수 없을까 걱정이었을 뿐이다. (저자 역)-SAKK, 휴재 공지 (20.10.20)
당시 SAKK는 일관되게 자신의 기획 의도를 유지하고 싶다는 이유로 댓글을 읽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표면적인 이야기일 뿐, 만화 속에서는 안티 댓글을 하는 캐릭터를 두들겨 패는 장면도 그려졌다. 다소 유치한 대응일 수 있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작가는 간접적으로 안티의 의견을 부정해왔다고 해석될 수 있다.
당연히, 그 작가의 행동을 즐겁게 지켜볼 수 있는 안티는 아마 많지 않을 것이다. 의견의 반영은커녕, 만화 속에서 웃음거리가 되고 있는 것에 격분한 안티 독자 일부는 점점 반발의 목소리를 높여갔다.
Webtoon계를 흔든 247화: 장외 난투의 시작
#Webtoon내의_여성혐오를_그만두자 의 태그를 붙이고 있다.
『HELLPER』의 팬 커뮤니티인 Dcinside의 HELLPER 마이너 갤러리에서, 한 독자는 “표현의 자유를 통해 범죄의 묘사가 당위성을 인정받으려면, 범죄의 잔혹성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 작가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다”고 날카롭게 비판했다.
여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범죄 묘사나 성적 표현 등이 허용 범위를 초과했다는 지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의혹이 불길처럼 번져나간 것은, 이번 달 8일 『HELLPER』의 선독에서 247화가 공개된 이후다.
당시 연재분에는 노인인 “피바다”가 머리카락이 모두 빠진 채로 나체로 구속되고, 약물이 주사되는 고문 장면이 그려져 있었다.-「구속 고문」의 장면, 무료 연재분에는 삭제될까…공공의 적이 된 『HELLPER』. 이투데이. 2020년 9월 14일
결국, 문제는 시즌②의 247화가 공개된 시점에서 폭발했다.
HELLPER의 독자라면 누구나 충격을 받은 그 내용으로 인해, 기존의 안티는 물론, 작품과 작가를 옹호하던 팬 독자들마저 등을 돌렸다.


247화의 댓글란.
「정신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약이라도 하고 있는 건가」라는 비판 댓글이寄せ지고 있다.
여기서 문제의 내용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해두자. 위의 기사에서도 설명하고 있듯이 “할머니 캐릭터를 약물로 고문하는” 장면이 247화에는 확실히 그려져 있었다.
한국 사회가 노인을 얼마나 소중히 여기는가 하는 이야기는 차치하고, 그 장면의 주인공인 “피바다”가 작품 전체를 통틀어 가장 인기 있었던 캐릭터였다는 점에 주목해주길 바란다. 즉, 10년 이상 연재를 해오면서 지금까지 가장 인기 있었던 메인 캐릭터가 갑자기 리타이어되고, 게다가 있을 수 없는 형태로 무너진 것에 독자들은 분노를 표출한 것이다. 이 사건의 시작은 단순히 그런 소란에 불과했다고 필자는 주장한다.
하지만, 진정한 문제는 그 다음에 발생했다.

작가의 만행을 더 이상 참지 못한 HELLPER 마이너 갤러리의 회원들이 스스로 트위터와 언론에 HELLPER의 여성혐오 요소를 공유하여 공론화시킨 사태. DC인사이드의 회원들은 평소 성향과 달리 페미니스트들을 응원하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자료를 제공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 (저자 역)
‐당시 사건에 대해, 갤러리의 사용자가 작성한 설명문
247화가 공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지금까지 작품에 문제 제기를 해왔던 일부 세력「HELLPER 마이너 갤러리」 사용자들에 의한 공론화가 시작된 것이다.
지금까지 지적해온 작품의 요소를「작가의 만행」으로 명명한 사용자들이, 문제의 247화로 주목받은 것을 계기로, 작가가 여성혐오를 그린다고 페미니즘 단체에訴え한 것이다. 그들은 247화의 노인 고문 장면을 포함해, 작품 속에서 그려진 성적 묘사, 강간 묘사 등을 자료로 정리하여 공론화를 위해 인터넷상에 자료를 퍼뜨려 나갔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그들의 성향을 설명하는 한 문장이다. 스스로 언급하듯이, 그들은 평소 페미니즘을 지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에 변화를 요구하기 위해 페미니즘 단체와 연대했다」고 공언하고 있다.
그들의 의도가 어떻든, 그 결과는 큰 반향을 일으켰음에 틀림없다. 이른바 장외 난투의 시작인 것이다.
성차별·페미니즘의 주제를 자주 다루는 매체 『여성신문』에서는, “18금이라고 해서 성 착취·강간 등의 표현이 허용되는가”라는 엄격한 시선의 기사를 발표하고, 그 지적에 동조하는 SNS상의 페미니즘 세력도 #Webtoon내의_여성혐오를_그만두자 등의 해시태그를 붙여 논의를 확산시켜 나갔다.
논란이 깊어지면서, 비판의 목소리는 연재처인 NAVER WEBTOON에까지 닿았다.
사건의 심각성을 깨달은 NAVER WEBTOON 측은 “격렬한 표현에 관해서는 편집 단계에서 작가에게 수정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고 하면서도, 「앞으로 가이드라인을 더 세밀하게 보완해 나가고 싶다」는 뜻을 발표했다.
운영 측까지 퍼진 논란: 검열 강화로 이어지다

위의 NAVER WEBTOON 측의 발언은 상당히 무거운 발언이 아닐 수 없다.
이전에 물론, 발생한 사건에 대응하여 NAVER WEBTOON이 “가이드라인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한 적은 여러 번 있었지만, 실제로 검열이 현저히 강화·적용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2014년에 연재를 시작해, 여성혐오를 그린다는 이유로 국민청원에까지 오르게 된 『복학왕』. 2015년도에 연재를 시작해, 유혈 표현으로 연재처를 옮긴 『낚시신공』조차, HELLPER만큼의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Google의 “NAVER WEBTOON 검열” 검색 결과.
모자이크가 걸린 컷들이 나열되어 있다.
즉, 2020년도를 지나서 이루어진 NAVER WEBTOON의 검열 경우는 전후 관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검열이 강화된 시점은Webtoon『HELLPER』에서 발생한 논란 사건이 언론에 보도된 이후다. (저자 역)
-남위키, “NAVER 검열 논란” 페이지의 설명에서 인용
이전 사건들과는 달리 HELLPER의 논란은, 「모자이크 검열」의 도입이라는 명백한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에는 “어떤 작품·어떤 장면이 문제시된다 → 삭제·수정된다”는 흐름이었던 것이, 「문제가 될 것 같은 장면에 미리 모자이크를 씌우는」 태도로 바뀌었다. 물론, 과거에는 문제시되지 않았던 것들이 나중에 모자이크가 씌워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일련의 사건을 둘러싸고 다시 한 번 찬반 양론이 일어난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당연한 귀결이었을지도 모른다. 특히 이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린 HELLPER 마이너 갤러리에 대해서는, 엄격한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그들의 공론화에 대해서도, 본래 페미니즘을 지지하지 않는 커뮤니티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그저 논란을 일으키기 위해 페미니즘 운동을 이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쏟아졌다.
어쨌든 HELLPER는 위의 사건을 통해 「Webtoon 역사상 최대의 검열을 가져온 작품」이라고 불리게 된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 시작된 검열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한국에서의 Webtoon의 형태를 정립하고 있다.
필자에게 HELLPER는, 학생 시절은 물론 성인이 된 이후에도 함께해온 작품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정식 연재를 시작하기 전부터 그 존재를 알고 있었던 작품이기도 하여, 이상의 수용 방식은 거의 「불명예」에 가까운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마이너 갤러리 사용자들의, 좋아하는 작품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화해가는 슬픔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논란을 무기로 삼아 독자의 잣대를 작가에게 들이대는 것은, 도저히 이해하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평소의 사고방식과는 다르다”고까지 공언하고 있는 페미니즘 운동을, 그저 논란을 일으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한 것은, 더욱 자신의 정당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행위였다.
결국, 그들이 지적하는 「작가의 만행」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그렇게까지 비판의 목소리를 높인 것은 무엇을 위한 것이었는가. 불과 2개월 전(2024년 8월)에 시즌②의 연재를 마친 HELLPER를 바라보면, 다음 작품에 대한 기대보다 앞으로의 걱정이 앞서고 있다. 언제 시즌③를 볼 수 있을까. 아니면 이대로 시리즈가 끝나버릴 것이라는 불안한 날들이 계속되고 있다. 그런 필자가 그럼에도 추천하고 싶은 이 작품은…
인생은 Vぇリー.
-장관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