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card url=”https://www.mk.co.kr/news/all/6176661″]실제로 그 지역에 사는 분들로부터 불만이 있었죠. “너무 무섭다”고요. (필자 역)
‐호란, 2014년 7월 9일
2011년, 한국의 Webtoon계에 큰 사건이 있었다. 당시 공개된 작품이 “너무 무섭다”는 이유로 화제가 되었던 것이다. 과연 어떤 내용으로 이렇게 큰 화제를 모았던 것일까.
당시의 나는 지금과는 달리 호러 장르에 전혀 내성이 없었고, 그래서 당시 화제가 되었던 작품도 몇 년이 지나서야 읽기 시작했다.
그 예 중 하나가 이전 회차에서 잠깐 이름만 언급한 『전투하라 유령이여』(2007)라는 작품이다. 호러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유머와 흥미로운 스토리로 인기를 끌었다. 아마도 중간부터 개그 만화로 방향을 바꾸지 않았다면, 나는 지금까지도 읽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물론, 당시 화제가 되었던 “너무 무섭다”는 Webtoon 작품은 나에게는 볼 수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Webtoon으로서는 드물게 언론에 보도되거나 해외에서 화제가 되었다는 뉴스를 들은 나는, 큰 결단을 내리게 된다. 방과 후, 그렇게 나는 교실에 친구 다섯 명 정도를 모아 Webtoon을 읽고 있었다.
그렇게 우스꽝스러운 일을 하면서 읽으려 했던 작품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2011년도 호러 단편집』에 올라온 두 편의 에피소드 “오크스역의 유령옥수역 귀신”과 “봉천동의 유령봉천동 귀신”이다.
참고로 이 작품은 이전의 『강한 자』와는 달리, 4년 전 LINE 만화에 『2020 괴담 단편집』이라는 이름으로 실렸다. 그 때문에 각각의 제목도 “플랫폼 유령”과 “뒷골목의 유령”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단편집의 9·10화가 화제가 된 에피소드이다. 호러를 싫어하는 사람은 열람 주의🚫
[blogcard url=”https://manga.line.me/pr/horror_2020_summer/”]
LINE 만화『2020 괴담 단편집』(2020)의 프론트 페이지

NAVER WEBTOON의 『2011 미스터리 단편』(2011)
지금 읽어보면, 그렇게 무섭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나도 13년 만에 이 작품을 다시 읽어보며 “왜 당시의 나는 그렇게 무서워했을까” 하고 웃기도 했다. 하지만 어떻게 생각해도 그 이유는 분명하다. 그것은 단지 13년 전의 Webtoon에는 “이런 기상천외한 작품은 없었다” 는 것이다.
이 작품을 쓴 Webtoon 작가 호란은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파격적인 연출을 자주 작품 속에서 선보였다. 그 시도의 일환으로 이번 작품에서 주목받은 것은 “3D 소프트와 FLASH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효과”이다. 단지 정지해 있는 것만으로도 무섭고, 아니, 정지해 있는 것이 당연했던 호러의 Webtoon이 눈앞에서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은 당시 독자들에게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일 것이다.
앞서 언급한 에피소드 중 “오크스역의 유령”(일본명: 플랫폼 유령)에서는 3D 소프트를 사용해 손이 화면에서 튀어나오는 연출을 하고 있다. 그러나 더 주목해야 할 것은 “봉천동의 유령”(일본명: 뒷골목의 유령)이다. 리마스터된 지금은 단지 “오크스역의 유령”과 마찬가지로 3D 이미지가 튀어나오는 형태를 하고 있지만…
이 에피소드가 등장한 13년 전에는 FLASH 기능을 사용해 강제로 사용자의 스크롤을 내리게 하고, 몇 장의 그림을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이른바 파라파라 만화의 연출을 시도한 최초의 Webtoon 작품이었다.
[blogcard url=”https://news.mt.co.kr/mtview.php?no=2014052311263945369″]기술적인 이야기로 말하자면, 지금의 Webtoon은 출판 만화를 웹에 가져온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디지털 매체에서만 표현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투운”의 제작 기술 기준을 세우고 싶습니다. (필자 역)
-호란, 2014년 5월 23일
이전 이야기와 이어지는 것이지만, 지금의 Webtoon을 정의하는 하나의 기준은 “스마트폰·태블릿에 적합한 읽기 방식”이다.
하지만 그 이전에 “종이가 아닌 디지털 매체로 만화를 읽고 있다” 는 대전제를 우리는 간과하기 쉽다.
종이는 스스로 읽는 템포를 조절할 수 있다.
종이의 그림은 스스로 넘기지 않는 한, 움직이지 않는다.
종이 만화는 소리를 내지 않는다.
이처럼 당연하게 여겼던 (종이의) 만화의 상식이 디지털로 바뀌면서 뒤집힌다. 호란은 당시 사람들 이 무시하거나 간과했던 것에 대해 드디어 의문을 제기한 유일한 Webtoon 작가였다.
Webtoon 독자는 물론, 평소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조차 충격을 받은 이 두 작품을 계기로 Webtoon계는 적지 않은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로는 Webtoon에 BGM이 들어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지금은 Webtoon 사이트에서 BGM을 추가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그렇게 드물지 않은 수법이 되었지만, 2010년대 전반까지 호란의 도움 없이 BGM을 넣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호란의 이름은 많은 작품의 크레딧에 올라가 있었다.
Webtoon의 읽기 방식에 대해 방황하고 있던 2010년대 후반에도 호란의 이름은 여전히 회자되고 있었다. 스마트폰 화면에 맞춘 컷을 하나하나 옆으로 스와이프하는 스마트 투운에서, 스크롤의 움직임에 맞춰 그림이 움직이는 무빙 투운, 스퀘어 컷을 옆으로 흐르게 하는 컷 투운까지, 호란은 Webtoon에 변화를 가져온 프로메테우스처럼 여전히 이야기되고 있다.
Webtoon이 지금의 형태에 이르기까지, 그 읽기 방식은 다양한 시도를 거쳐왔다.

도입한 작품『거리담항설』(2016)
작품의 첫 번째 화에서 인용.

평가가 나뉘고 있는『버프 소녀 오오라』(2012)
작품의 첫 번째 화에서 인용.
[blogcard url=”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645612.html”]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경계선에 있는 장르를, 외국에서는 “모션 만화”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2011년도에 공개된 호란 작가의 Webtoon『오크스역의 유령』이 그 시작이다라고 알려져 있다. (필자 역)
호란은 단순히 “그림이 움직이는 작품”을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호란이 만들어낸 것은 독자조차도 잊어버릴 뻔한, “종이가 아닌 디지털로 만화를 읽고 있다는 자각”이었다.
지금도 그림이 움직이는 Webtoon 작품은 상당히 드물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태블릿으로 읽기 쉬워진 지금의 Webtoon 형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자각이 필요해진다.
이번에는 게시하는 내용상 작품의 내용에는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 중에는 Webtoon의 역사를 직접 체험하고, 그 변화에 조금이라도 접하고 싶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 패셔너블한 당신에게 추천하고 싶은 이 작품은…
[blogcard url=”https://manga.line.me/pr/horror_2020_summer/”]박 주현
1998년생, 한국 출신. 올해부터 일본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일하고 있다. 15년 이상 Webtoon을 읽어오며, 선독에 10만 원 이상을 쏟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현재는 과금으로 쏟은 분을 조회수로 벌고 싶다는 마음으로 Webtoon 기사를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