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9.08
여러분, 오랜만입니다.
『Monthly KPOP Chit-chat』이 시즌 2로 돌아왔습니다.
자, 기념비적인 컴백 첫 번째 주제는 올해 상반기의 KPOP 사건에 대해 여러 가지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올해 KPOP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주제는 ‘HYBE VS 민희진’의 진흙탕 내부 투쟁이 될 것입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무슨 일이 있었는지 간단히 설명하자면,
4월 22일.
BTS의 폭발적인 인기 덕분에 명실상부 KPOP 최대의 연예 기획사로 성장한 HYBE가, HYBE LABELS 산하의 ADOR 대표이자 NewJeans 프로듀서인 민희진 씨에게 배임 행위(경영권 탈취를 시도한 의혹)로 사임을 요구했습니다.
4월 23일.
민희진 씨는 경영권 탈취를 시도했다는 HYBE의 주장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4월 25일.
HYBE 측이 민희진 씨와 ADOR 경영진에 대해 배임 행위 의혹으로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
같은 날
민희진 씨는 변호사를 동석시켜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여기까지 적었지만 이미 진흙탕인데, 이 기자회견이 더 큰 진흙탕으로 발전하는 원인이 됩니다.
이때 민희진 씨의 주장은 이렇습니다.
- 나는 HYBE를 배신하지 않았다. 오히려 HYBE가 나를 배신했다.
- NewJeans로, 지금까지 KPOP 역사상 2년 만에 이 정도 성과를 낸 사람은 나 외에는 없다.
- 내게 죄가 있다면 일할 수 있다는 죄밖에 없다.
- 원래 NewJeans가 HYBE에서 데뷔하는 첫 번째 걸그룹이라는 약속이 있었음에도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LE SSERAFIM이 먼저 데뷔했다.
- HYBE 산하의 BELIFTLAB에서 데뷔한 ILLIT는 NewJeans의 콘셉트를 복사하고 있다.
자세히 말하자면 다른 여러 주장도 있었고, 기자회견 후반에는 HYBE 회장인 방시혁 씨와의 카카오톡 대화를 스크린샷과 함께 폭로하며 자신이 얼마나 억압받고 있는지를 빠른 말로 쏟아내고, 방송 금지 용어를 연발하며 HYBE 경영진을 욕했습니다.
그리고 이 기자회견을 계기로 여론이 민희진 씨 쪽으로 급격히 기울게 되었습니다.
회견에서 착용했던 다저스 모자와 초록과 흰색의 스트라이프 롱티는 한국 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품절이 속출했고, 빠른 말로 쏟아낸 욕설의 폭풍은 “민희진이라는 신인 래퍼의 데뷔 쇼케이스”로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층도 생겨나, 한국의 에미넴이라 불리며 인터넷 밈화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런 현상은 한국의 일본 이상으로 뿌리 깊은 남존여비 사회가 영향을 미쳤다고 저자는 생각합니다.
HYBE라는 거대 기업의 남성 경영진에, 입장이 약한 자회사의 여성 사장이 압력에 굴하지 않고 권력에 맞서는 구도가 한국 드라마처럼 일반 한국 국민의 감정을 흔들었습니다.
하지만, 이 회견에서 언급된 LE SSERAFIM과 ILLIT은 이 날을 기점으로 대량의 안티를 양산하게 되었고, 두 그룹의 유튜브 댓글란에는 매일 끊이지 않는 비방이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NewJeans에게도 마찬가지로, 민희진 안티로부터 NewJeans가 혐오를 받는 형태가 되어버렸습니다.
저자는 중립을 지키며 HYBE에도 민희진 씨에게도 편들고 있지 않지만, 성인들의 갈등에 단지 아이돌로서 매일 열심히 하고 있는 그녀들을 끌어들인 민희진 씨의 죄는 무겁다고 생각합니다.
NewJeans를 이렇게 세계적 아티스트로 만든 능력은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HYBE의 자금력 덕분이기도 하고, 다른 여러 직원들이 노력했기에 이룬 성과라고 생각하며, 마치 혼자 힘으로 NewJeans를 성공으로 이끈 것처럼 말하는 것은 너무 자기중심적인 주장처럼 느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게다가 ILLIT이 NewJeans의 복사본이라는 주장은 같은 엔터테인먼트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너무나도 서글프게 느껴집니다.
확실히 비슷한 부분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엔터테인먼트의 상식이며 히트작을 따르는 것은 결코 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음악뿐만 아니라 영화, 만화 등 모든 장르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자신이 만든 것과 비슷한 것을 만든 사람이 나타났다면, 더 좋은 것을 만들어 유일무이한 것으로 만들어가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엔터테인먼트의 역사는 서로 경쟁하며 오늘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
타임리프물이 유행하면 타임리프물의 만화나 영화로 넘쳐나고, 메타버스물이 유행하면 메타버스물의 만화나 영화로 넘쳐나고, 걸크러시가 유행하면 걸크러시 콘셉트의 KPOP 그룹으로 넘쳐나고, Y2K가 유행하면 Y2K 콘셉트의 KPOP 그룹으로 넘쳐납니다.
하지만 그때 무엇을 선택할지는 소비자가 결정하는 것입니다.
좋은 것은 자연스럽게 남고, 좋지 않은 것은 도태되어 사라집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민희진 씨는 ILLIT의 등장을 계기로 더 NewJeans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HYBE에 대한 원망을 힘으로 바꿔주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HYBE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우리 외부인은 알 수 없는 일이므로, 민희진 씨가 HYBE 경영진에게 억압받고 있다고 느꼈다면 그것은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괴롭히는 쪽이 아무리 괴롭히지 않았다고 해도 괴롭힘을 당한 쪽이 괴롭힘을 당했다고 느끼면 그것은 괴롭힘인 것처럼, HYBE 경영진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 내부 투쟁은 현재 진행형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8월 27일) 민희진 씨가 HYBE에 의해 ADOR 대표에서 해임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민희진 씨는 일방적인 해임으로 불법적인 결정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아직 끝날 것 같지 않은 이 내부 투쟁이 과연 어떤 결말을 맞이할지.
그것은 KPOP의 신만이 아는 일일지도 모릅니다.
이 문제 외에도 아직 쓰고 싶은 사건이 많았지만, ‘HYBE VS 민희진’ 사건으로 인해 한 편의 칼럼이 다 소진되어버렸으니 나머지는 Part2로 이어집니다….
끝
집필: 고양이마을 페코
SKOOTA KPOP부 팀장
〈원래는 외국 음악 록 오타쿠로 한때 록킹온에 취직하려고 할 정도로 음악 통. BTS 계기로 KPOP을 듣게 되었고 그 후 BLACKPINK에 빠져 KPOP 늪에 발을 담그게 됨.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Girls Planet 999’에 푹 빠져 여기서 데뷔한 Kep1er의 진정한 팬이 되어 결국 두 발을 KPOP 늪에 담그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