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zy, Twice, Niziu… K-pop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그 이름은 들어봤을 유명 그룹의 안무를 담당한 안무가이자 영상 감독인 EUANFLOW님.
10년 가까이 한국에서 댄스 스튜디오(ALiEN Studio)를 운영해온 그는 2022년을 기점으로 일본에도 진출하고 있다. 안무뿐만 아니라 콘텐츠 자체의 제작에도 감독으로 참여하고 있는 EUANFLOW님은 왜 댄서가 아닌 안무가, 그리고 감독의 길을 걷게 되었는지.
또한 일본 진출에 대한 그의 비전과 그 생각은 무엇인지. 이번 SKOOTA에서는 그의 “생생한 생각”을 듣기 위해 통역사 신우이스님과 함께 한국어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이: EUANFLOW
25년간 프로 댄서로 활동 중. 2016년부터 ALiEN DANCE STUDIO를 설립하고 대표를 맡고 있다.
■WORK
・NiziU – Take A Picture, ASOBO
・TWICE – Perfect World, Fake&True 등
・ITZY – Dalla Dalla
・PRISTIN V – Spotlight
・gugudan – Be My Self, Not That Type
기타 다수
독서 좋아하는 조용한 아이를 변화시킨 “댄스“의 유행 “내가 TV에 나올 줄은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에, EUAN님 이름을 처음 듣는 분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EUANFLOW: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25년간 프로 댄서로 활동해온 EUANFLOW입니다. 지금은 한국에서 9년간 ALiEN이라는 댄스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일본과 한국의 문화를 연결하며,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일본에서도 훌륭한 아티스트를 프로듀스하고 싶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SKOOTA는 다양한 크리에이터와 이야기를 나누어왔는데, EUAN님과 같은 분과 인터뷰하는 것은 처음입니다. 먼저, 댄스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듣고 싶습니다.
EUANFLOW:제가 초등학교 3학년 때, TV에서 현진영이나 서태지와 아이들 같은 아티스트가 나왔어요. 그게 재미있어 보여서 취미로 따라 해보기도 했고, 그게 즐거웠습니다.
그 전까지의 저는 책을 많이 읽고 공부도 열심히 하는 타입이었어요. 하지만 댄스를 시작한 이후로는 거의 그 일만 했던 것 같아요. 고등학교까지 취미로 댄스를 했지만, 제가 댄스로 TV에 나올 거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어요.
그러던 중, 어느 날 저에게 댄스를 배우던 친구가 겨울 방학에 프로 댄스 팀 오디션을 보고 합격했어요. 그래서 “내가 배운 친구가 합격했으니 나도 할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하고 다음 오디션을 받아서 저도 그 팀에 들어갔습니다.
――당시(1990년대 초반)는 댄스 가수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죠. 그렇게 TV라는 매체를 통해 댄스에 접하기 전에는, 책을 좋아하는 조용한 아이였다고 하셨습니다.
EUANFLOW:맞아요. 정말 조용한 아이였어요(笑)。 게임도 좋아했지만, 그보다 책을 많이 읽었죠.
――댄스를 시작한 후, 주변의 반응은 어땠나요?
EUANFLOW:사실 주변 친척들은 제가 어릴 때부터 책만 읽었기 때문에, 나중에 꼭 훌륭한 사람이 될 거라고 기대했었어요. “판사나 검사가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죠. 그런데 댄스를 시작한 후 공부가 지루하게 느껴지기 시작했고, “고등학교 진학을 포기하겠다”고까지 말했어요. 중학교 시절에 댄스만 하고 공부를 하지 않았는데,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공부를 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러자 모든 친척들이 “고등학교는 졸업해야 해!”라고 하더라고요.
당시 PC-286이나 386이 출시된 시기여서 “그럼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고 그 분야의 고등학교에 진학했어요. 그런데 그 고등학교의 댄스부에서 그 유명한 댄스를 가르치던 친구를 만나게 되었죠(笑)。 그게 시작이었어요.
――지금도 고등학교 진학을 포기하는 것은 한국에서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인식이 있을 것 같은데, 당시에는 더 엄격했을 것 같아요.
EUANFLOW:그럴 수도 있겠네요.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하나 말씀드리자면, 중학교 시절에 공부가 너무 싫어서 교과서 중간에 일본 만화책을 끼워서 읽곤 했어요(笑)。
신우이스:당시 어떤 만화를 읽었는지 기억하나요?
EUANFLOW:음, 『ONE PIECE』나 『湘南純愛組!』 같은 것들이었을 거예요. 아니면 『드래곤볼』 같은 것도요. 당시 한국에서는 “만화방”이라고 해서 만화책을 대여해주는 가게가 유행하던 시기였어요. 제가 책 읽는 걸 좋아한다고 말씀드렸잖아요. 그 당시 다니던 만화방에서 거의 모든 만화를 읽었어요.
중학교 시절, 공부가 너무 싫어서 교과서 중간에 만화책을 끼워서 읽고 있었던 제가, 고등학교에 진학해서 “야간 자율 학습”을 할 자신이 없었어요. 그래서 아까 말씀드린 대로 흐름이 그렇게 된 거죠.
“야간 자율 학습”: 한국의 고등학교에서 정규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이 교실이나 별도의 공간에서 자습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2010년대 초반까지 참여를 강제하는 학교가 많았다. (주)
――즉, 어릴 때부터 일본 문화에 접해 있었다는 말인가요?
EUANFLOW:그렇죠. 지금도 물론 그렇고요, 일본 만화는 당시 한국에서도 엄청 인기 있었고, 애니메이션으로 따지면 세계 1위였으니까, 접하지 않는 게 이상할 정도였어요. 동년배 중에 일본 만화를 읽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인기가 있었죠.
신우이스:지금의 K-pop과 한류 드라마 같은 거죠.
EUANFLOW:네, 그렇다고 생각해요.
프로팀에 들어가 느낀 한계와 새롭게 찾은 목표 “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
――사실 이 분야를 잘 모르는 사람에게 댄서와 안무가의 차이가 무엇인지, 혹은 안무가의 의미조차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 같아요. EUAN님은 어떻게 댄서에서 안무가가 되었는지 듣고 싶습니다.
EUANFLOW:이것도 제 어린 시절 이야기부터 시작하는 게 이해하기 쉬울 것 같아요.
제가 한국 나이로 18세, 일본으로는 17세 때 “ING”라는 프로 팀에 들어갔어요. 당시 한국에서 매우 인기 있었던 팀이었죠. 그때의 저는 어릴 때부터 댄스를 해왔고, 친구들끼리만 춤을 췄기 때문에 제가 정말 잘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그 팀에 들어가니 정말 새로운 세계가 펼쳐졌고, 제가 얼마나 우물 안 개구리인지 알게 되었죠.
그 중에서 가장 놀랐던 것은 당시 단장님이 안무를 만드는 과정을 옆에서 지켜보며 “어떻게 이렇게 훌륭한 안무를 만들 수 있을까”라는 문화 충격을 받았어요. 그래서 저는 프로 팀에 들어가서 처음으로 목표가 “안무가가 되는 것”이었어요. 무대에서 춤추는 것이 아니라요.
저는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안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읽었던 것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지만, 단순히 안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까”, “저 사람은 왜 그렇게 잘할까”라고 고민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당시에는 같은 곡으로 다른 안무를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며 “왜 이 사람이 더 멋있을까”, “왜 이 사람의 저 파트가 더 좋은 느낌일까”라는 것을 생각하고 탐구하는 작업을 계속했어요. 이렇게 어릴 때부터 계속 해왔기 때문에, 그것 자체가 굉장히 토대가 된 것 같아요.
안무가가 “동작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감독은 만들어진 동작을 전체적으로 배열하고 수정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감독” 같은 사람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것이 안무가의 다음 단계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동작을 만드는 것은 춤을 춘 경험만 있으면 만들 수 있는 면도 있지만, 만들어진 안무가 좋은지 나쁜지, 혹은 사람들을 즐겁게 할 수 있는지는 실제로 안무를 만들어본 경험이 없으면 알 수 없어요. 자신의 작품을 무대에 올려보고, 다른 사람에게 가르쳐서 춤추게 해보는 경험을 많이 쌓아야 비로소 그것들을 판단할 수 있는 시각이 생기죠.
그런 이유로 안무가를 통해 쌓은 경험이 충분하지 않으면 감독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상정하는 경력의 순서라고 할까요. 아니면 레벨의 순서적인?


――정말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이야기를 듣고 “평소 어떻게 안무를 생각하고 있는지?”가 가장 궁금해졌습니다. 일반인의 시선에서 보면, 신체적으로, 즉 동작의 아이디어나 힌트 등을 평소 어디서 얻고 있는지 듣고 싶습니다.
EUANFLOW:우선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곡의 분위기와 맞는지”입니다. 이는 저뿐만 아니라 모두가 그렇게 생각할 것 같아요. 곡의 컨셉과 분위기, 메시지에 적합한 구성을 할 수 있는지를 첫 번째 단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무가로서의 경쟁력은 “다른 사람이 하지 않는 동작”, “만들어지지 않은 동작”을 만들어낼 수 있는가라고 생각해요.
제 경우는, 이걸 이야기하면 모두 웃을 것 같은데(笑)。어떤 예술 분야든 레퍼런스는 필요하지 않나요? 예를 들어 MV 감독이라면 다른 MV를 참고하고, 영화 감독이라면 다른 영화를 참고하죠. 제 경우는, 댄스가 서툰 분들의 동작을 참고해요.
그것도 전혀 관계없는 K-pop이나 팝 음악 이외의 음악의 춤을 참고하기도 하고요. 오랜 시간 춤을 추면서 여러 가지 노력을 해왔기 때문에, 지금까지 유행해온 댄스의 동작은 대체로 알고 있어요. 일부러 다른 사람의 댄스를 보고 참고하더라도, 제 머릿속에 있는 것과 별로 다르지 않아서 새로운 발견이 없어요.
하지만 댄스가 서툰 분들의 동작은 같은 동작이라도 전혀 다른 감각으로 표현하고, 같은 춤이라도 전혀 다른 근육과 신체 부위에 힘을 주고 있어서, 정말 신선하게 보이거든요. 물론 그것을 제가 다시 검토해서 멋지게 만들고, 제 능력과 감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지만. 그런 작업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는 다른 예술 작품에도 관심이 많고, 전시회나 갤러리에 자주 가며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쌓는 것을 좋아해요. 재즈 라이브에도 가곤 하죠.
그런 다른 장르의 예술을 보고 있으면, 댄스가 아닌, 평소에 접하지 않는 포즈나 형태, 혹은 공간의 분위기 등을 접할 수 있어요. 특히 공간 전시의 경우 “이런 장소에서 춤을 춘다면 어떤 형태가 좋을까”라는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동안, 단순히 곡을 듣는 것과는 다른 상상이 작용하게 되죠. 그래서 새로운 동작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비유하자면, 레퍼런스로 아마추어 일러스트나 아이들의 낙서를 참고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일까요?
EUANFLOW:그럴 수도 있겠네요.
――지금, 감독으로서의 일에 대해 말씀해 주셨는데, 그 중에서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인가요?
EUANFLOW:제가 만든 작품을, 제가 보아도 멋지다고 생각할 수 있는 순간이 아닐까 싶어요. 한편으로는, 제가 마음에 들지 않는데 많은 분들이 평가해 주시는 경우도 있어요. 그럴 때는 기쁘기보다는 보람을 느끼죠. “그래도 나는 좋은 일을 했구나” 같은(笑)。
또한, 저는 앞서 말씀드렸듯이 ALiEN이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본래 댄서의 회사로, 제가 구상한 컨셉의 안무를 만들어내는 회사입니다.
그래서 가수의 안무도 만들면서, 제 자신의 작품도 많이 만들고 있어요. 따라서 음악에 적합한 동작을 만들어내는 과정뿐만 아니라, 음악을 듣고 “이걸 비디오로 내보낸다면 어떤 의상과 스타일의 안무를 넣으면 더 좋은 작품이 될까”라는 생각을 쌓아왔습니다. 그런 작품을 많은 분들이 좋아해 주실 때 보람을 느끼곤 해요.
제가 정말 만족할 수 있는 작품이 기대한 만큼의 반응을 얻지 못할 때도 있고, “이건 너무 쉽게 만들었구나”라고 생각했던 것이 엄청 잘 팔리기도 했어요. 지금은 어느 쪽에서도 만족을 느끼고 있습니다. 스스로 만족하는 것도 있고, 모두에게 사랑받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도 있어요.
――EUAN님은 하나의 안무를 만드는 것 이상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보이는 콘텐츠 그 자체를 “감독”하는 쪽인 것 같습니다. 하나하나의 안무도 물론 중요한 것이지만, 그것이 영상으로 변했을 때 어떻게 보일지를 항상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아요.
EUANFLOW:제가 만든 댄스 비디오는 제가 직접 촬영하고 편집한 것들입니다. 그런 작업을 꽤 일찍 시작한 편이죠. 물론 MV나 영화와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댄스 비디오를 촬영하고 편집하는 데 있어서는 한국 내에서도 인정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회사에서도 제 영상을 참고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 “댄서는 운동선수만큼의 능력과 스스로 관리하는 아티스트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다음은 조금 가벼운 질문으로 넘어가고자 합니다. 어떤 인터뷰에서 회사의 시설 등을 소개할 때, 실내에 있는 체육관 시설이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평소 연습이나 교육 전에 자주 근력 훈련을 하시나요?
EUANFLOW:(웃음)부끄럽게도 회사를 운영하기 시작한 이후로, 몸 관리보다 비즈니스나 콘텐츠 제작에 집중해왔어요. 그래서 지금 언급한 체육관 시설은 예전과 비교하면 그다지 사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 간단한 스트레칭 5분, 10분 정도는 항상 하고 있지만요.
트레이닝 이야기가 나왔으니 잊기 전에 말씀드리자면, 저는 댄스의 기술이나 기초를 배우기 이전부터 스포츠를 많이 해왔어요. 근력이 생기고 몸이 단련되면, 연습을 하지 않아도 댄스가 잘 추는 것처럼 보이거든요. 아니면 춤추기 쉬워지기도 하고요. 그런 경험을 했기 때문에, 프로 팀의 레슨이나 프로를 목표로 하는 아이들을 가르칠 때는 반드시 근력 훈련을 시킵니다. 그 커리큘럼이 정비되었기 때문에, 회사를 만들 때 이를 도입했습니다.
그래서 저희 소속 댄서나 제자들은 처음에는 정말 힘들다고 말했어요. “근력 훈련은 하고 싶지 않다”거나 “피곤하다”라고 했지만, 결국 마지막까지 따라온 아이들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피지컬이 따라오지 않으면, 아무리 가르쳐주고 연습해도 성장에는 한계가 있으니까요.


오히려 개별적으로 댄스 연습을 하지 않아도, 피지컬 트레이닝만으로도 성장할 수 있어요. 그런 경험이 있기 때문에, 체중 훈련부터 시작해서 체육관 시설 도입까지 이어진 것입니다.
――단순히 커리큘럼 이야기만이 아니라, EUAN님 본인의 경험에 기반한 것이라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EUANFLOW:감사합니다.
제가 저희 멤버들에게 트레이닝을 시킬 때, “댄서는 운동선수만큼의 능력과, 스스로 관리하는 아티스트여야 한다”라는 말로 설득하고 있었어요. 왜냐하면, 댄서는 신체 능력으로 기록을 목표로 하는 운동선수가 아니라, 음악과 감정을 스스로의 예술적 영감과 감각으로 표현하는 일이기 때문이에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원하는 방향으로의 표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피지컬한 요소가 매우 중요하므로, 그렇게 말씀드렸던 거죠.
――“설득”이라는 표현이 재미있습니다(笑)。
EUANFLOW:그렇죠, 정말 힘들어 보이니까 뭔가 동기부여를 해줘야 하거든요. 그렇다고 해도, 그 동기부여는 결국 자신에게만 가능한 일이니까, 이는 가르치는 입장에서 느낀 것을 그대로 말한 것뿐입니다.
맨네리즘에 빠진 10년 전, 스스로에게 질문했던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EUAN님은 예전부터 창작한 안무에 “Euanflow Choreography”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 중에서 여전히 인상에 남는 것이 있을까요?
EUANFLOW:제가 좋아하는 작품이 몇 개 있습니다. 그 중에서 여러분이 가장 좋아해 주셨고, 아마 지금의 ALiEN이라는 브랜드에 연결된 콘텐츠가 있습니다.
그것이 Tinashe의 “2 ON”이라는 곡의 안무입니다. 그 안무를 정말 많은 분들이 평가해 주셨어요. 제가 스스로 구상하고 확립한 안무의 개념이나 이론을 잘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이기도 하고, 제가 생각한 것 이상으로 화제가 되었기 때문에 인상에 남습니다.
안무뿐만 아니라 콘텐츠로 떠오르는 것은 유튜브 채널에 있는 “Millennia”라는 곡의 안무입니다. 작가가 Pixel Terror라는 EDM 아티스트인데, 아마 한국에서는 그렇게 유명하지 않은 곡일 거예요. 그 작품의 컨셉과 의상 문제로 정말 고민하며 만들었고, 아마 이런 스타일은 전 세계적으로도 처음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정말 혁신적이거나 훌륭하다고까지는 말할 수 없지만, 다양한 요소가 섞여 하나의 콘텐츠가 만들어졌다는 의미에서 “이 조합으로 이 정도의 자극을 줄 수 있는 콘텐츠는 이거밖에 없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습니다.
EUANFLOW:간단히 설명하자면, 영상의 댓글에도 적혀있지만 “전시회의 조각상이 움직이고 있는” 느낌을 노렸습니다. 보통 댄스라고 하면 열정적으로 땀을 흘리며 에너지를 발산하는 이미지가 있지만, 이렇게 땀도 흘리지 않고 천천히 움직이면서 멋진 분위기를 내고 있죠(笑)。 그래서 의상도 치마나 긴 드레스를 입고, 장갑도 끼고 있습니다. 모자도 Vogue 스타일의 것을 썼죠. 보시면 아시겠지만, 댄스가 굉장히 정적이에요. 물론 정적으로 보이는 것일 뿐 실제로는 다이나믹하지만요.
――팬터마임에 가까운 느낌인가요?
EUANFLOW:아니요, 오히려 제가 생각하기에는 모델이 춤추는 것이得意한 분야가 아닐 것이라는 인상이 있어요. 만약 모델이 멋지게 춤을 출 수 있다면 이런 느낌이 아닐까? 너무 많이 움직이지 않고 멋을 부리며 춤추는 것 같아요.
――실제로 정적인 것과 정적으로 보이는 것은 아마 전혀 다른 이야기일 것 같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것과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이건 어디서 영감을 받는지에 대한 이야기와도 연결되는 것 같아요. “모델이 춤을 추면 어떤 동작이 될까”라는 의문도 그렇고요. 다만, 실제 모델이 춤을 추면 아마 댄서로서의 동작과는 전혀 다를 것이고, 그것을 EUAN님이 멋지다고 생각한 동작으로 바꿔 나간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EUANFLOW:네. 일반적인 모델이 멋지게 춤을 춘다면 어떤 스타일이 될지 생각하고 있었어요.
――앞서 들었던 “평소 어떻게 안무를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답과 연결되는 것 같아 매우 흥미롭습니다. 영감을 받은 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그것을 더 좋은 방향으로 활용해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EUANFLOW:지금 이야기를 듣고 생각나는 것이 있습니다. 영감에 대한 이야기인데, 사실 저는 10년 정도 전에 조금 오만해졌던 시기가 있었어요. 무슨 이야기냐면, 오랜 시간 댄스를 연구해온 탓에 “나는 이미 댄스에 능숙하다”, “다른 댄서의 일을 볼 필요도 없고, 댄스에 대해 모르는 것이 없다”고 생각하게 되어 2~3년 동안 다른 댄서의 작업에 전혀 접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어요. 다른 사람들이 춤추는 것에 전혀 눈을 돌리지 않았죠.
하지만 그렇게 2~3년이 지나고 보니, 세상의 댄스가 정말 발전해 있었어요. 그 발전의 포인트가 무엇이었냐면, 예전 제가 무시했던 “팔의 동작”의 다양화였어요.
예전의 저는 댄서의 입장에서 “팔의 동작은 가장 초보적인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더 잘하고 싶다면 팔보다 레벨이 높은 다리나 몸의 동작을 익히면 된다고 생각했죠. 팔의 동작은 너무 간단하고, 더 이상 연구할 곳도 없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2~3년 사이에 팔의 동작이 연구를 통해 발전하기 시작했고, “팔로 이렇게 움직일 수 있구나”라고 생각할 정도로 성장해 있었어요.
그 일로 후회한 이후로는, 제가 어떤 영감을 얻고 싶을 때는 스스로에게 질문하기로 했습니다.
예전에는 “팔로 할 수 있는 것은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로 멋진 동작을 해야겠다”라고 생각하게 되었죠. 예를 들어 지금 떠오르는 것은 “힙합 곡에서 재즈 댄스를 춘다면”이라는 질문에 대해, 예전에는 “그런 건 할 수 없어”라고 반박했을 거예요. 하지만 지금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든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사고를 쌓아가는 것이 정말 유용했어요. 새로운 컨셉이나 안무를 생각해낼 때 단서가 되어주었죠.
――맨네리즘에 빠진 이야기인가요? 지금 이야기한 것은 크리에이터들이 빠지기 쉬운 이야기라고 생각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것은 정말 참고가 되는 조언입니다.
EUANFLOW:경험에 기반한 이야기입니다만.
K-pop과 함께 전 세계에 퍼지는 교육 시스템… “같은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해서 같은 결과를 낸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이것은 일본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즉 우리의 인상일 수도 있지만,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후배 인재를 육성하여 세상에 내보내는 것”이 당연한 흐름이라는 풍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엔터테인먼트의 진출과 함께 한국의 교육 문화도 동시에 들어온다는 인상이 있는데, 이 산업의 최전선에 서 있는 EUAN님은 그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EUANFLOW:그렇군요. 그에 대해서는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개인적인 견해로 말씀드리자면, K-pop의 인기나 K-pop의 음악, 댄스, MV가 선호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다른 나라에는 없는 교육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다른 나라 사람들과 비교해, 타고난 ‘재능’이 다르다”고 한다면, 아마 그런 교육 문화는 태어나지 않았을 거예요. 물론 K-pop이 탄생하는 데는 재능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다른 나라에는 존재하지 않는, 체계적인 교육 방식과 연습 방법”, 즉 “제작 프로세스”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인데, “어느 나라에서든 이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것인가”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군요. K-pop을 구성하는 각 요소는 있지만, 그 근본에는 K-pop만의 독특한 시스템이 존재하는 것이군요. 그러므로 K-pop을 들여올 때는 시스템도 함께 들여오는 것이 되겠네요.
EUANFLOW:네, 그렇습니다. 하지만 시스템은 어느 나라에서든 도입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나오는 것에는 차이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 이유로 가장 큰 것은, 역시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일 것 같습니다. 같은 교육 방식을 도입한다고 해도, 교육 기간 동안 같은 결과가 나오리라고 단언할 수는 없죠.
아시겠지만, 한국은 경쟁이 치열한 나라라서, 경쟁을 하지 않으면 오디션이나 멤버 선발이라는 과정을 통과할 수 없어요. 그 경쟁에 익숙해지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예 수용할 수 없는 교육 시스템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시간에 제약이 없다면 또 다른 이야기겠지만요. 모두 젊은 몇 년 안에 연습을 쌓고 데뷔해야 하니까요.
국가마다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같은 시스템을 도입하더라도 같은 결과를 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시간을 두고 보면, 그 시스템에서 태어난 인재들을 보고, 젊은 아이들이 “이렇게 하면 데뷔할 수 있구나”라고 생각하기 시작하면서 점점 시스템이 정착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지금의 이야기를 듣고 질문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은데, 일본에 진출하시는 EUAN님께서는 일본의 문화와 K-pop의 시스템의 궁합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EUANFLOW:제 경험으로는, 한국인 수준으로 집중하고 연습할 수 있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아요. 하지만 적어도 제가 만난 일본 연습생들은 정말 한국인과 비교해도 같은 정도로 열심히 했어요. 그래서 정말 놀랐습니다. 그 정도로 열심히 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거든요.
마인드의 차이는 있겠지만, 적어도 제가 만난 연습생들은 모두 K-pop을 정말 좋아했어요. 그래서 K-pop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고, K-pop 아이돌이 어떻게 태어나는지를 모두 조금은 알고 있는 상태였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것일 수도 있지만, 모두 한국인처럼 열심히 개인 시간을 활용해 연습하고 있었어요. 이른바 “목숨 걸고” 열심히 하는 사람도 많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저는 이 시스템이 일본에 도입된다면 정말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신우이스:영국이나 일본에도 아이돌 시장이 있고, 오히려 한국보다 10년, 20년은 앞서 있었지만, 지금 시대에 가장 효율적으로 아웃풋을 내고 있는 시스템이 한국에서 태어난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원 같은 사교육 시스템과 교육에 대한 열정이 시스템을 체계화시킨 것인지, 아니면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국민 자체의 열정이 경쟁을 만들어내고, 그 안에서 살아남은 시스템이 강해진 것인지. 즉, 우수한 시스템이 먼저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금의 시스템이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우수한 스타와 아티스트를 만들어낸 시스템을 지금 우리가 답습하고 있는 것인지.
EUANFLOW:아, 여기까지 질문을 받으니 다룰 것이 정말 많아지네요. 일단, 제 생각으로는 “동반 상승”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사교육이 훌륭했기 때문에 인재가 따라온 것이 아니라, 그렇다고 해서 인재 자체가 뛰어났기 때문에 사교육이 따라온 것도 아닙니다. 아이돌이라는 문화 자체가 젊은이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어, 이를 꿈꾸는 사람들이 TV를 통해 점점 늘어났습니다. 또한 많은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성공을 사람들이 보면서 많은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생기기 시작했고, 회사 간에 경쟁이 생기게 되었죠.
그 과정에서 스태프를 포함해 더 많은 인재가 모였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안무를 가르치고, 곡을 만들고, 연습생을 교육하여 아이돌을 육성하는 “학원”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런 엔터테인먼트가 많이 생기면서 경쟁을 반복하고, 그 과정에서 스태프의 능력도 향상되어 지금의 K-pop의 융성에 연결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사교육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댄스를 가르치는 장소는 제가 아는 한 일본에도 많이 있죠. 개인적으로 댄스를 배우는 문화 자체는 일본이 더 앞서 있다고 생각했었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문화 자체가 많은 경쟁과 음악 프로그램 속에 놓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즉, 많은 아티스트에 접할 수 있는 환경이 있었던 것 같아요.
그것은 하나의 요인만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가 얽힌 결과입니다. 그 안에서 K-pop이라는 문화가 다른 나라보다 발전할 수 있었던 환경적 요인은 음악 프로그램의 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MV가 공개되고, 그 아티스트를 좋아하는 사람이 아티스트를 만나고 싶거나 곡을 듣고 싶어도, (다른 나라에서는) MV 이외의 콘텐츠에 접할 기회가 적어요. 하지만 한국은 주 4~5회 음악 프로그램이 편성되고, 시청자도 스튜디오에 참여할 수 있어 콘텐츠 소비가 쉽고 다양하게 이루어집니다. 그런 환경이 있기 때문에 안무도 더 공들여 만들게 되고, 곡 만들기도 그렇고, 아티스트를 선별할 때도 더 고민하게 됩니다. 팬들 입장에서도 그런 콘텐츠를 즐길 기회가 늘어남으로써, 공급하는 쪽과 소비하는 쪽이 접촉할 기회가 생기는 거죠. 그래서 더 빨리 발전할 수 있었던 것 아닐까요.
K-pop X 애니메이션, 콜라보에서 나오는 앞으로의 가능성… “가능하다면 해보고 싶다”


――시간이 다 되어가고 있으니, 마지막 질문이 될 것 같습니다. K-pop 산업에서 안무가로 활동하셨기 때문에, 지금까지 다양한 장르와 만날 기회가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지금처럼 애니메이션 산업과의 접점이 생기는 것처럼요.
EUANFLOW:네, 그렇습니다.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보아, EUAN님에게 다른 장르와의 콜라보는 어떻게 이루어져 왔나요?
EUANFLOW:이와 관련해서는 제가 평소 생각하고 있는 것을 엮어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무, 즉 춤은 결국 음악과 함께 소비될 수밖에 없어요. 그러면 그 음악 자체가 대중에게 소비되는 음악이라는 전제가 필요하고, 현재 시점에서 그것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음악은 K-pop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런 작업을 많이 해온 입장에서, 더 새로운 것을 요구하는 인간적인 본성이 있다고 할까요(笑)。 원래 그런 인간이라는 점이죠.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다양한 예술과의 콜라보를 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앞서도 말씀드렸듯이 전시회에 가는 것을 정말 좋아하기 때문에, 팝 문화에서의 댄스 소비는 이미 다 해본 느낌이 들어요. 그 안에서 예술과 엮이는 것은 지금까지 없었던 시도이기도 하고, 아니, 없었다기보다는 대중에게 닿지 않았다는 것이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미술·예술과 연결되는 댄스라고 하면 현대 무용에 가까운 것밖에 없고요. 하지만 저는 K-pop에서 사용되는 스트리트나 안무가 대중에게 사랑받는 이유가 반드시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사랑받는 요소”를 활용하여 미술계와의 콜라보를 해보고 싶습니다. 아이디어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애니메이션도, 공을 들이면 충분히 콜라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른바 댄스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미술적인 부분과 애니메이션의 부분을 엮어 댄스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아요. 가능하다면, 저를 필요로 하는 분이 이 업계에 계신다면 꼭 해보고 싶습니다. 예전부터 계속 시도해왔지만, 쉽지 않은 이야기고, 전폭적인 지원과 자금이 없으면 어렵거든요. 그런 문제가 있어서 구체화는 되지 않았지만, 일단 아이디어는 가지고 있습니다.
어쨌든 저도 지금까지 개인적으로 다양한 작업을 해왔고, 단순히 안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장소나 의상, 메이크업 등 레퍼런스를 통해 공들여왔기 때문에. 그런 경험에 기반하여,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미술적인 분야와 콜라보할 수 있는 것이 매우 많다고 생각합니다. 제작 측만이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신선한 자극을 받을 수 있는 그런 것들을요.
――앞으로 EUAN님이 한국을 포함해 일본과 전 세계에서 어떤 활동을 하실지 기대됩니다.
EUANFLOW:감사합니다. 저도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인터뷰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인터뷰 협력: 신우이스
(NHK WORLD 아나운서, 주식회사 위스쿨 대표이사)
●인터뷰어: 박주현(SKOOT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