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팟캐스트 프로그램으로 아래의 미디어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게스트, 퍼스널리티
Guest, Personality
게스트: 미치노쿠 토게
애니메이션 제작자 / 게임 아트 디자이너. 애니메이션 제작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미치노쿠 토게’라는 쇼트 애니메이션을 제작 및 게시 중입니다.
퍼스널리티: 사코다 유키
통신회사와 종합 광고 대행사를 거쳐 애니메이션 기획 및 제작 회사를 창립하고, MV와 영화의 영상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 교토로 이주하여 교토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착수했습니다. 최근에는 만화와 오디오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도 종사하고 있으며, 오디오 드라마와 웹툰의 기획 및 제작 중입니다. 또한 여러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프로듀서 및 어드바이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전체 목차
#01
・카즈노코 씨가 미치노쿠 토게 씨에게
・애니메이션 영상을 지향하게 된 계기
・3DCG의 퀄리티를 높이는 요인은 2D 애니메이션에 기반이 있다는 것을 깨닫다
・디즈니 픽사의 스토리보드가 매력적이었다
・일본인의 기질에 대한 이야기
・컷에 흐르는 공기감을 소중히 여기며 제작
・브라더 베어에서 받은 영감의 원천
・일본판 브라더 베어를 만들고 싶다
・어려운 주제를 엔터테인먼트로 포장하여 쉽게 소비할 수 있도록
・살아있는 것을 그리는 것이 즐겁다
・자유롭고 다양한 것을 만들고 싶어서 게임 회사에 입사
・회사 내에서 할 수 있는 사람, 유리한 것, 프리랜서가 좋은 사람, 할 수 있는 것 등
・내면의 자아의 존재
・졸업 작품의 큰 실패
#02
・회사 선배에게 배운 것
・서두르지 않기, 마음 챙김, 생각하지 않기
・생각하지 않기 위한 팁이 있을까
・싫은 것을 제쳐두기, 싫은 것에蓋를 하다
・그레이로 만들기
・감명을 받은 Airy Me의 MV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루틴은 무엇인가
・주제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기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아트와 창의력으로 쉽게 전달하기
#03
・크라우드 펀딩을 해본 실감
・처음에는 자신의 힘만으로 하려고 했지만…
・스마트하게 해내지 못하는 애니메이션
・인간다움과 창작의 본질은 어디에 있는가?
・AI의 도래를 통해 우리가 작품을 통해 무엇을 보고 있는지,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 명확해졌다고 느낀다
・문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작품 ‘미치노쿠 토게’에 대해
・동북의 아이덴티티, 동북스러움을 전달하고 싶다
・’미치노쿠 토게’ 10화에서 전하고 싶은 것
・태어날 때부터 제약이 정해져 있다는 것
#02가 시작됩니다
서두르지 않기, 마음 챙김, 생각하지 않기
Don’t rush, be mindful, don’t think.
사코다
네. 음, 미치노쿠 씨가 졸업 작품 때 하고 싶었던 것들이 계속 있었는데, 기회가 없어서 계속 걸렸습니다. 그리고 회사원 생활 5년 동안도 계속 걸렸습니다. 그래서 이건 반드시 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뭐, 어떤 면에서는 나중에 돌아보면 실패 경험이었던 것 같지만,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실제로 사회에 나와서 회사에서 일할 때도 그렇고, 프로젝트 단위로 무언가를 할 때도 여러 성공 경험이 많지만, 실패한 경험이나 어떤 것에 직면했을 때 극복해야 할 것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미치노쿠 씨가 가지고 있는 철학이나 대처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Yes. Um, there was always something that Michinoku-san wanted to do for your graduation project, but you never had the opportunity to do it. It bothered him for a long time, even during his five years as a company employee. So you decided to become independent because you had to do it no matter what. Well, looking back, it was a kind of experience of failure, but in reality, whether when working for a company in society or doing something on a project basis, there are many successes and failures, and you have to overcome them when facing something. What kind of philosophy or coping method does Michinoku-san have in such situations?
미치노쿠 토게
그렇군요. 어려움이란, 아마도 이것은 창의적인 산업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닐 것 같은데, 제가 그 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회사 선배가 해준 말이 있습니다. 먼저 두 가지를 이야기하고 싶은데, 첫 번째는 ‘항상 차분하게 있어라’는 것입니다. 서두르지 말라는 것이죠. 서두르게 되면 주관적으로 의외로 자신의 머리가 돌아가고 있다고 느끼지만, 실제로는 돌아가지 않거든요. TV에서 본 이야기인데, 어떤 사람이 돈이 없어서 속아 넘어가고, 돈이 없어지게 되죠. 그리고 그 나쁜 사람에게 또 속아 넘어가서 부정적인 나선으로 빠지게 되는데, 결국 속은 사람은 차분한 판단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더군요. TV에서 실제로 그 모습을 보니 정말 믿을 수 없는 판단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런 상황에 처한 사람은 정말로 제대로 된 판단을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먼저 서두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차분해지는 것이죠. 그리고 제가 고민하고 있을 때 마음 챙김이라는 것을 조금 보게 되었는데, 마음 챙김은 명상에 관한 것입니다. 명상은 마음을 비우고 목표를 정리하여 머리 회전을 좋게 하는 운동 같은 것이죠. 그러니까 깊게 숨을 쉬는 것입니다. 깊게 숨을 쉬고 잠시 진정하면, 그 초조함이 조금 줄어들고, 차분한 판단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먼저 중요하게 여기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아까와는 반대인데, 이 ‘생각하지 않기’는 어떤 식으로든, 중상모략을 당하거나, 상사에게 심한 말을 듣고 그것이 인격을 부정하는 것이라면, 집에 돌아가서 방에서 혼자 고민하는 것이 흔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단지 같은 생각을 계속 돌리는 것일 뿐, 전혀 생산적이지 않습니다. 저는 과거에 꽤 끌려다니는 타입이라, 생각하면 개선책이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괜찮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며 계속 생각하고 있었지만, 그것이 제게 긍정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오히려 마음을 비우고 생각하지 않으려 하니, 의외로 아까의 이야기와 연결됩니다. 차분함이 생기고 마음이 안정되어 올바른 판단에 가까워지더군요.
그래서 ‘생각하지 않는 것’은 신경 쓰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신경 쓰지 않고 생각하지 않으려 하며, 같은 부정적인 생각으로 계속 돌고 있는 것을 그만두고, 그곳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면, 결국 실패를 성공에 가까워지게 하는 방법이 ‘생각하지 않는 것’과 항상 차분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긴장하고 있어서 차분함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조금 깊게 숨을 쉬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사코다
아, 깊게 숨을 한 번 쉬어볼까요? 그러면 웃음이 나올 것 같네요. ‘서두르지 않기’와 ‘생각하지 않기’는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머리에 두어야 할 두 가지 선배의 조언이라는 것이죠. 그런데 이 ‘생각하지 않기’ 부분에 대해 좀 더 깊이 들어가고 싶습니다. 그렇게 말해도 ‘생각하지 않기’는 정말 어렵지 않나요?
Ah, let’s take a deep breath and then laugh a little. “Don’t panic” and “Don’t overthink” are the two senior colleagues’ advice that we should keep in mind when facing difficulties. However, I would like to ask more about this “Don’t overthink” part. Even so, it’s very difficult to “not overthink”, isn’t it?
미치노쿠 토게
네, 그렇습니다. 생각하게 되죠.
Well, yeah. It makes you think, doesn’t it?
사코다
그렇죠. 생각하게 되니까, 역시 힘든 거죠. 뭐,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같은 것도 있지만, 결국 뇌가 저절로 생각하게 되는 것들이잖아요. 그걸 멈출 수 없기 때문에, 모두가 고민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미치노쿠 씨는 어느 정도 어떤 방법론으로 ‘생각하지 않기’를 할 수 있게 된 것 같은데, 그게 어떤 기술이 있는지 좀 듣고 싶습니다.
Right. It’s tough because once you start thinking about it, your brain automatically goes that way, you know? There are various default mode networks and whatnot, but ultimately it’s what your brain naturally thinks about. That’s why I think everyone struggles with it, because they can’t stop it. In that sense, I feel like Mr. Michinoku has somehow been able to “not think” to a certain extent through some methodology, and I’m curious about what kind of techniques he uses.
미치노쿠 토게
음, 저도 아직 잘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생각하지 못할 때는 ‘생각하면 안 된다, 긍정적인 것을 생각하자’고 의식합니다. 그리고 일기 같은 것을 쓰거나, 제 경우에는 일기 대신 비공식 계정을 만들어서 ‘이런 싫은 일이 있었다, 으으’ 같은 트윗을 많이 하게 되는데, 이건 결국 생각한 것을 형태로 만들어버리는 것이죠. 그래서 그런 생각하지 않으려는 의식이 있어도, 그걸 의식하거나 말로 내뱉음으로써 필연적으로 의식하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부정적인 감정에 무의식적으로 가까워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것조차 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뭐라고 할까요, 싫은 것을 제쳐두고, 싫은 것에蓋를 하는 느낌이죠.
For example, in a peaceful family, there may have been a scary past that is taboo or unspoken. There is also the concept of “kotodama” where words can sometimes become energy. This can be explained scientifically or neurologically. Therefore, not being conscious of negative thoughts and not saying them out loud is important. When you feel down, you tend to think about the reasons why you are feeling down. As a result, you end up recalling negative experiences. So, it’s important to focus on the good things, even if they are small things like eating delicious food or going to a beautiful place.
또한, 상담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람들은 항상 과거와 미래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 이런 일이 있었다, 아, 싫다, 나는 안 된다’ 같은 식으로요. 반면에 미래는, 이 후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불안에 시달리게 됩니다. 자신의 상황에 빠지지 않고 항상 머릿속은 과거와 미래를 오가고 있지만, 그것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그 순간에 집중할 수 있다면, 필연적으로 생각에 빠지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연장선상에서 맛있는 것을 먹거나, 산에 가서 맛있는 공기를 마시거나, 경치가 아름다울 때,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이 있을 때 그 일에 몰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몰입함으로써 점차적으로 마음에 영양이 가는 것 같고, 부정적인 것에서 멀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어떤 의미에서는 지금 있는 것에 감사하는 것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힘든 시기에 억지로 눈앞에 있는 것에 감사하라고 하면 그건 무리잖아요. 그래서 조금 행복해지고, 행복한 순간이 있을 때, 다시 자신이 좋다고 느낄 수 있는 것에 집중하고, 그 일에 몰입하는 것입니다. 몰입하는 것을 의식함으로써 점차 나쁜 것, 생각에 빠지는 것에서 멀어질 수 있다는 느낌으로, 저는 그렇게 극복하려고 합니다.
그레이로 만들기
Ambiguity
사코다
마인드풀니스라는 단어를 처음에 언급하셨는데, 그 이야기가 정말 깊이 뿌리내린 이야기라고 생각하며 듣고 있었습니다. 결국, 이 분야에서 미치노쿠 씨가 말씀하신 이야기는 꽤 이해하기 어려운 이야기이지 않나요?
The word “mindfulness” was mentioned at the beginning, and I thought it was a story that was deeply rooted in that concept. In the end, the story that Mr. Michinoku talked about in this area is quit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accept, isn’t it?
미치노쿠 토게
아, 그렇군요. 지금 표현 방법을 생각해냈는데, 싫은 것들이나 나쁜 것들을 받아들이려고 하거나 마무리하려고 하면 부정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레이가 최고다’라는 말이 자주 나오는데, 흑백을 가리기보다는 그레이로 만드는 것이죠. 이야기가 조금 바뀌긴 하지만, 세계의 분쟁도 흑백을 가리기보다는 그레이로 만드는 것이 평화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 것에 대해 그레이로 만드는 것이 정신적으로 안정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뭔가를 단정짓지 않고, 정말 좋은 부분이 어디인지, 흑백이 아니라 중간의 좋은 부분을 취하는 느낌으로 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Oh, I just came up with a way of expressing it. When it comes to unpleasant or bad things, trying to come to terms with them or trying to find closure can make you feel negative. That’s why people often say that the gray area is the best, rather than trying to see things in black and white. This may be a bit of a digression, but in conflicts in the world, it’s often better to see things in shades of gray to maintain peace. So, I think that seeing things in shades of gray is what leads to mental stability. Instead of making assumptions, it’s good to find the best part in a middle ground, rather than in black and white.
사코다
정말 좋은 이야기네요. 국제적인 질서나 규칙도 그레이한 부분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하잖아요. 유엔 같은 경우도 그렇고, 어딘가가 어떤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없애는 것이죠.
That’s a really good point. After all, it’s important to always have some gray areas in international order and rules. The UN and others do the same thing, avoiding a situation where one place has complete decision-making power over something.
미치노쿠 토게
그렇군요. 뭔가 잘 이해가 안 되는 느낌이 드네요. 하지만 그렇게 잘 되고 있는 것 같아요.
Well, I see. It’s kind of confusing, but somehow it works.
사코다
그렇죠. 잘 이해가 안 되는 상태로 두지 않으면, 어떤 것이 0이나 100으로 결정되어버리면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게 되니까, 결국 0이나 100으로 누군가가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결론을 도출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애매하게 두는 것은 자연스럽게 국제적인 여러 가지 일에도 적용되는 사고방식이라고 지금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미치노쿠 씨에게 사전에 의견 차이가 생겼을 때의 대처 방법에 대해 물어봤을 때, 지금의 이 그레이의 논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셨기 때문에, 그 이야기도 포함해서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Right. I think it’s a natural and internationally applicable approach to leave things ambiguous because if that something is already determined to be either 0 or 100, then rational decision-making will be made, which I think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someone or something will be dropped.
So, when I asked Michinoku-san beforehand about how to deal with differences of opinion with team members, he talked about this gray area logic. So, I thought I’d like to talk about that as well.
미치노쿠 토게
음, 그렇습니다. 팀원 간의 의견 차이에 대해서도, 바로 그 말이 맞고, 애매하게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듣기에는 안 좋지만, 실제로는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뭐, 흑백, 편견에 대한 이야기로도 이어지겠지만, 편견은 흑백을 확실히 하는 행위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을 같은 것으로 묶어버리면, 마찰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팀 내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것들이 있어도 공존하는 것입니다. 다른 것들이 있어도 공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레이 상태로 두고, 좋은 점을 취하는 방법을 생각함으로써 팀원 간의 의견 차이로 인해 멈춰 있던 것이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다른 표현을 하자면, 헤겔의 변증법이라는 복잡한 개념이 있는데, 결국 a와 b가 있고, 서로 논쟁을 하고 있지만, 중재자가 들어와서 ‘그렇게 하면 어떨까’라는 중간 의견을 제시하여 그쪽으로 유도하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그래서 그레이 상태로 두는 것은 여러 가지에 대해 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Well, let me think. Regarding differences of opinion with team members, it’s important to leave things ambiguous just as they are, even though it may sound bad, and in reality, I think it’s the best way. It’s kind of like the discussion of black and white and prejudice, but I believe that prejudice is the same as clarifying things in black and white.
Summing up everything as the same thing can cause friction, so what’s important in a team is coexistence, even if there are different things. It’s important to flow and coexist even with different things. By thinking about finding a compromise that combines the best of both worlds, I think that the things that were stopped by differences of opinion with team members will start moving again. Well, to put it another way, there’s something called Hegelian dialectics that’s a bit complicated, where there are a and b, and they’re arguing about something, but then a mediator comes in and suggests a middle ground, and words that lead in that direction, so leaving things gray like that is probably important for various things.
사코다
아니, 이건 마치 30년 동안 업계에 있었던 사람처럼 느껴집니다. 하하.
No, I feel like I’m in a state where I’ve been in the industry for 30 years or something like that, you know, haha.
미치노쿠 토게
아니요, 저는 아직 초보자입니다. 아마도 제 아버지는 가족에게 일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그런 이야기들을 듣거나, 아니면 트위터에서 돌아다니는 회사 문제 같은 이야기를 종합해서 이렇게 생각하게 된 것 같습니다.
No, no, I’m just babbling. I think my father talks a lot about work to our family, but I just hear those conversations and other stuff like the issues with that company on Twitter, and I guess that’s what led me to think this way.
사코다
네, 그렇습니다. 여기서 후반부로 넘어가기 위해 곡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여러 가지 실패를 겪고 나서 그레이가 최고라는 결론이 어느 정도 나와 있는 미치노쿠 씨인데, 졸업 작품 때 ‘이건 실패했구나!’라고 생각했던 에피소드를 이야기해 주셨으면 합니다. 반대로, 미치노쿠 씨가 정말 좋다고 생각했던 작품의 곡을 소개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Well, let me see. I’d like to go back to the song arrangement to bridge the latter half here. As far as the connection point goes, after experiencing various failures, Michinoku-san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gray is the best. At the time of his graduation work, he talked about an episode where he failed and said, “I messed up here!” On the other hand, or rather, I don’t know if it’s the right way to put it, but it’s a form of introducing songs that Michinoku-san himself really liked and thought were good.
미치노쿠 토게
음, 제가 학생 시절에 정말 감명을 받은 작품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마미에서 졸업한 아티스트인 쿠노 하루코 씨의 작품입니다. 그녀는 애니메이션을 졸업 작품으로 만들었는데, 그 애니메이션의 제목과 사용된 곡의 이름이 동일합니다. 그 이름은 ‘Airy me’이고, 그 곡의 아티스트는 Cuushe라는 아티스트의 곡을 사용했습니다. 이 작품이 너무 뛰어나고 아름다워서, 저는 이런 멋진 것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런 것을 만들고 싶다는 강한 욕망이 생겼습니다.
감명을 받은 Airy Me의 MV
Impressed by Airy Me’s MV
사코다
조금 전에 이야기하셨던 것처럼, 이 곡의 에피소드를 다시 한 번 들려주실 수 있을까요?
I was talking a little bit earlier, but could you please tell me again the story behind this song?
미치노쿠 토게
이 작품을 처음 본 것은 대학 3학년 때였고, 도쿄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작품이 선정된 상영회가 있었습니다. ICAF(아이카프)라는 이벤트였는데, 그때 처음 보게 되었습니다. 기술적인 높이도 정말 놀라웠지만, 그보다도 그림의 아름다움이 정말 대단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그림인지 말씀드리자면, 전혀 디지털 처리를 하지 않고 최소한의 마무리만 하고, 모두 아날로그의 노란 종이에 색연필로 다양한 색으로 선만 그린 그림입니다. 내용은 병원을 배경으로 하고, 처음에는 병원의 간호사와 환자 간의 귀여운 교류를 그린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환자가 그로테스크한 괴물로 변해버리는 이야기입니다. 아름답고 귀엽지만, 그 대비로 그로테스크한 부분이 그려져 있어서, 기술적으로도 감명을 받았고, 작품의 주제나 그림에 대해서도 정말 동경이 가득했습니다. 그래서 저도 이런 것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사회인이 된 후에도 몇 년 동안 그 애니메이션 작품을 유튜브에서 여러 번 보았습니다.
I first saw this work when I was a third-year university student, at a screening of selected works by students studying animation in Tokyo. It was an event called ICAF, and it was my first time seeing it. The technical excellence was amazing, but more than that, the beauty of the art was incredible. Specifically, the art style was all hand-drawn with colored pencils on yellow paper, without any digital processing, with just the bare minimum finish. The content was set in a hospital, and at first glance it seemed to depict a cute exchange between a nurse and a patient, but in the end, the patient turned into a grotesque monster. It was beautiful and cute, but at the same time, it depicted the dark side and contrasted with the grotesque elements. I was very impressed both technically and thematically, and I was filled with admiration and a desire to create this kind of work myself. I loved the work so much that even after I became a working adult, I watched that animation on YouTube many times for several years, almost as an obsession.
사코다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마음의 영양 같은 것이죠. 내면의 목소리가 나올 때, 그것을 제어하는 의미에서도 그렇고, 더 키우는 의미에서도 이 작품을 보고 언젠가 나도 이런 것을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계속 영양을 주었던 것일 수도 있겠네요.
That thing that was just talked about earlier, not about nutritional supplements for the heart, but when your inner voice comes out, it’s both about controlling it and promoting it. Watching this work might have been a way to keep providing that nutritional supplement, with the thought of making something like this someday and giving oneself encouragement.
미치노쿠 토게
그렇습니다. 자연스럽게 힘을 얻고 있었던 것일 수도 있겠네요.
Well, I guess I was getting energy from that nature.
사코다
그걸 듣고 나면, 창작자들은 그런 목소리를 다른 사람에게 듣는 것이 정말 기쁠 것 같아요. 그래서 미치노쿠 씨도 같은 감정을 앞으로 창작할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작품을 만들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When I listen to that, I think that the creators are really happy to hear such voices from others, so I think that maybe Michinoku-san is also creating the work to convey the same feeling to other people who will make things in the future.
미치노쿠 토게
그렇습니다.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최고겠죠.
Well, if that could be done, it would be great, wouldn’t it?
사코다
그렇죠. 하지만 그 어려움이나 실패에 직면할 때의 자세가 미치노쿠 씨의 작품에 정말 투영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의식적으로 스며들고 있는 것 같아요. 마인드풀니스의 사고가 정말 많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hat’s true, isn’t it? Well, I think that the attitude towards facing failures and difficulties, like the one from earlier, is really projected in Michinoku-san’s work. I think it’s unconsciously seeping through. I feel like mindfulness thinking is really present in it.
예를 들어, ‘미치노쿠 토게’ 작품 속에 있는 산신령인 오니가 있잖아요? 그가 ‘산과 대화하자’는 장면이 있죠? 그건 분명히 마인드풀니스이자 명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에 집중하는 것은 눈앞에 있는 것을 온몸으로 느끼고 대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들이 민속학이나 토착 문화에서 지향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그런 주제를 선택한 것도 자연스럽게 미치노쿠 씨가 가지고 있는 어려움에 직면하는 자세가 작품에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Well, there are aspects of adding past difficulties as episodes to Michinoku Pass as a way of honoring those memories, and also parts that, as Sakoda-san mentioned, are unconsciously included. Both seem to be present.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루틴은 무엇인가
What is a routine for coming up with creative ideas?
사코다
어려움이나 실패에 대해 ‘서두르지 않기’, ‘생각하지 않기’라는 본질을 듣고, 그 생각을 거쳐 창의적인 작업을 할 때 미치노쿠 씨가 어떤 아이디어 발상 방법이나 루틴,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는지 듣고 싶습니다. 아이디어는 어떤 곳에서 나오고, 어떤 것에서 영감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I asked about the idea generation process and routine that Mr. Michinoku has while doing creative work, after hearing about the idea of “not rushing” and “not thinking”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and failures as an essence. However, what is the process of generating ideas and what kind of things lead to inspiration?
미치노쿠 토게
회사원 시절에 저는 게임 디자인 일을 했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형태로 만드는 일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때 배운 방법과 더불어, 제 인생에서 경험한 것을 포함하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회사원 시절에 먼저 배운 방법은, 주제를 받았을 때 그 주제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는 것입니다. 주제에 대해 가장 적합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아마도 100% 완벽한 답은 나오지 않겠지만, 가까운 답은 나올 것입니다. 그리고 답을 찾은 후에는 제 생각을 더해 더 나아지게 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형태로 만들어갑니다.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철저히 조사하는 것이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평소에 다양한 것들을 보고 듣고, 제 취미와 기호도 포함됩니다. 그리고 제 자신의 레퍼토리로서 그런 것들을 잘 챙겨두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 편향된 아이디어만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무언가를 만들 때 주제에 대해 철저히 조사합니다. 제 아이디어를 메모하는 것도 오랫동안 해왔지만, 의외로 그런 것들은 실제 작업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얕은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디어의 흐름이 될 수는 있지만, 주제를 철저히 조사했을 때의 정보가 훨씬 유용합니다. 그래서 반대로 제 레퍼토리를 믿고 조사하지 않고 아이디어를 내려고 하면, 그 진흙탕에 빠져서 언제까지나 형태가 나오지 않는 일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더 많은 것을 알아야 한다고 서두르더라도 의외로 의미가 없고, 그것도 중요하긴 하지만, 오히려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것도 보고, 그 작품을 참아보며 그 작품의 좋은 점을 깨닫지 못한 채 시간을 허비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취미와 기호를 살리면서 필요할 때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During my time as a company employee, I worked in game design, so I was doing the job of bringing ideas to life. Therefore, there are two things that I learned during that time: the methods I was taught and, in addition, my own life experiences. As for the methods I learned during my time as a company employee, when given a topic, I would research it thoroughly, looking for the most optimal answer for that topic. I might not find a 100% perfect answer, but I would find a close one. After finding an answer, I would then add my own thoughts on how to improve it and bring it to life. That’s the process of dropping an idea and developing it.
One method of dropping an idea is to research it thoroughly, but it’s not the only way. Normally, I would see and hear various things in my daily life, as well as my own hobbies and preferences. I also pay attention to things and keep them in stock as part of my own repertoire. While it’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ings that interest you and expand your antennae, relying solely on your own interests will only lead to biased ideas for a given topic. Therefore, when making something, I research the topic thoroughly. I’ve been writing down my own ideas for a long time, but surprisingly, they often don’t work when it comes to actual production. They tend to be shallow.
While they can contribute to the flow of ideas,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thoroughly researching the topic is more useful. So, if you try to come up with ideas without relying on your own repertoire, you’ll get stuck in a quagmire and never be able to put your ideas into shape. Therefore, I always keep my antennae up and try to learn as much as possible. Even if you rush to learn more, it’s not always helpful. It’s important to look at things you don’t like, endure the work, and appreciate the good parts of it, rather than wasting time by not noticing the good parts. That’s why I think it’s important to pick up on your own hobbies and preferences while researching if necessary.
사코다
그렇게 보면, 미치노쿠 씨는 주제가 있고, 그 주제에 대해 아이디어를 낼 때 그때 조사한 정보와 사실이 본질이 되어, 그것을 쌓아올려 자신의 의견을 융합시켜 아이디어로 승화시키는 자세를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Regarding that, Michinoku-san has a stance of researching extensively during the process of coming up with ideas in response to a given topic. The information and facts gathered during the research serve as the essence, and by combining them with their own opinions, they elevate them into ideas.
미치노쿠 토게
주제를 정하고 그것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함으로써 접근이 가까워지거나 더 유연한 아이디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제가 없는 상태에서 생각하게 되면, 자신이 도달하지 못했던 부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By choosing a theme and focusing on it during exercise, I think that the approach becomes closer, or rather more flexible ideas can be generated. When I think without a theme, I can reach parts that I couldn’t have reached myself. Therefore, deciding on a theme, or rather a concept, is important.
사코다
정말 그렇습니다. 주제라는 표현보다는 개념이라는 표현이 더 자유롭게 느껴지지만, 그런 것이 없으면 아이디어도 흩어져버리고 강해지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제약이나 틀을 정한 후, 그 틀을 강화하기 위한 사실과 정보를 많이 모으고, 주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꽤 날카로워지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들어오지 않았던 정보도 들어오기 쉬워지고, 그곳에 자신의 의견을 융합시키면 쌓아온 정보와 사실이 잘 결합되어 그 주제에 대해 최적의 아이디어가 생겨납니다.
이것은 창의적인 광고 대행사의 크리에이터적 사고방식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며 들었습니다. 결국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아트와 창의력의 힘으로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세상에 전달하고 싶다는 마음이 미치노쿠 씨 안에 꽤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창의적인 작업에 직면할 때 그런 사고 경로를 따라가는구나 하는 이해가 생겼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것은 아트의 힘이고, 창의력의 힘이며, 디자인의 힘이기 때문에, 그런 것에 대해 엄청난 감각이 있고, 그런 것에 대한 강한 욕구가 있기 때문에, ‘미치노쿠 토게’와 같은 작품이 나오는 것이라고 이해합니다.